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 또는 이에 근거를 둔 징계규정과 다르게 징계위원회를 구성한 다음 그 결의를 거쳐 징계한 경우, 그 징계의 효력은?
(대법원 2020. 11. 26. 선고 2017두70793 판결)
1. 징계처분에 대한 재심절차는 징계처분에 대한 구제 내지 확정절차로서 원래의 징계절차와 함께 전부가 하나의 징계처분절차를 이루는 것으로서 그 절차의 정당성도 징계과정 전부에 관하여 판단되어야 하므로, 원래의 징계처분이 그 요건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재심절차를 전혀 이행하지 않거나 재심절차에 중대한 하자가 있어 재심의 효력을 인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징계처분은 현저히 절차적 정의에 반하는 것으로서 무효이다
(대법원 1994. 1. 14. 선고 93다968 판결, 대법원 1998. 12. 8. 선고 98다31172 판결, 대법원 2010. 5. 27. 선고 2010두1743 판결 등 참조).
2.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 또는 이에 근거를 둔 징계규정에서 징계위원회의 구성에 관하여 정하고 있는 경우 이와 다르게 징계위원회를 구성한 다음 그 결의를 거쳐 징계처분을 하였다면, 그 징계처분은 징계사유가 인정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원칙적으로 절차상 중대한 하자가 있어 무효이다
(대법원 1995. 5. 23. 선고 94다24763 판결, 대법원 2009. 3. 12. 선고 2008두2088 판결 등 참조).
3. 취업규칙은 사용자가 그 근로자의 복무규율이나 근로조건의 기준을 정립하기 위하여 작성한 것으로서 노사 간의 집단적인 법률관계를 규정하는 법규범의 성격을 가지는데, 이러한 취업규칙의 성격에 비추어 취업규칙은 원칙적으로 그 객관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하여야 하고, 문언의 객관적 의미를 벗어나는 해석은 신중하고 엄격하여야 한다
(대법원 2003. 3. 14. 선고 2002다69631 판결, 대법원 2016. 1. 28. 선고 2014두12765 판결 등 참조).
4. 참가인 회사가 취업규칙에 따라 징계위원회의 구성에 관하여 정하고 있는 인사위원회 규정을 위반하여 참가인 회사의 업무를 담당하는 다른 법인 소속의 총괄임원을 제외한 채 재심위원회를 구성한 다음 그 결의를 거쳐 징계해고를 한 것은 재심절차의 중대한 하자에 해당하여 재심의 효력을 인정할 수 없고, 위 징계해고 또한 현저히 절차적 정의에 반하는 것으로서 무효라는 이유로, 이와 달리 판단한 원심을 파기한 사례.
요약정리
법원은 일관되게 징계관련 규정이 있다면 그 규정에 따라 징계위원회를 구성하여야 하며, 그 절차를 따라야 한다는 취지를 가지고 있으며, 문구에 대한 해석도 객관적 의미에 따라 신중하고 엄격하게 적용하여야 한다고 보고 있으며, 이를 준수하지 못한 징계 결의는 무효라 보고 있습니다.

'노무관련 법 규정 및 판례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동판례> 공기관의 경영평가성과급은 평균임금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사례 (0) | 2021.01.05 |
---|---|
서울아산병원 간호사 죽음 병원에 손배 책임 (0) | 2021.01.04 |
근로기준법 개정안>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6개월로 확대 (0) | 2020.12.17 |
노조법개정> 실업자 및 해고자의 노조가입 가능 (0) | 2020.12.16 |
청탁금지법 개정 입법예고 추가로 살펴보기 (0) | 2017.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