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평생금연

[금연/금주 32일차] 흡연욕구는 거의 없는데 절주하자는 욕구가 강해지다. (feat. 뇌의 유혹과 잔머리) 뇌의 순간적인 쾌락을 위해 즐겼던 흡연과 음주 이 두가지는 모두 마약 이다. 이 두가지로 인해 나의 자존감이 떨어지고 자아실현의 욕구도 방해받고 있다. 금연과 금주를 시작한지 32일차가 되었습니다. 이제까지는 특별히 흡연이나 음주에 대한 욕망이 크게 작용하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한달을 넘어서니 흡연에 대한 욕구는 여전히 거의 없는 상태이지만 음주에 대한 욕구가 이전보다 강해지고 있습니다. 금주보다는 절주를 하면 어떨까? 모임에서 맥주나 소주 한두잔은 괜찮지 않을까? 이런 생각들이 수시로 머리속을 스쳐지나가고 퇴근무렵이 되면 더 강해지네요. 어제도 퇴근 후 집으로 운동삼아 걸어가면서(약 6km) 이제 한달이 지났으니 가볍게 절주를 할수 있지 않을까? 소주잔에 물이나 사이다도 두세번 잘라 먹는데 소주도 그렇.. 더보기
금연을 위해 뇌를 속이자 : 평생금연법 금연을 하다보면 한귀(한가치귀신)의 유혹이 참을수 없을때가 많습니다. 이놈의 한귀를 잘 물리치려면,,, 결국, 우리의 뇌를 속여야만 편해집니다. 금단증상... 대부분의 금단증상이 담배를 더이상 피지 못한다는 초조감, 불안감 그리고 딱, 한대만 더 피고싶다는 욕구에서 출발됩니다. 사실, 니코틴 등에 의한 육체적인 금단증상은 미약하며 며칠이면 대부분 해소가 됩니다. 때로는 육체적인 금단증상 자체가 안 나타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흡연자가 금연을 포기하는 가장 큰 이유는 육체적 금단현상이 아닌 정신적, 심리적 금단증상때문입니다. 우리의 뇌가 흡연은 즐거운 것, 행복한 것, 힘들때 위로해 주는 것 이런 긍정적인 방향으로 각인이 되어 있기때문에 그러한 상황들이 도래했을 때 우리의 뇌는 '이봐, 지금쯤 담배 한대 피..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