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산업안전기사 시험공부 방법론(feat.직장인) 2024년 1회 산업안전기사 시험을 모두 마쳤습니다. 2월 17일 필기시험을 치뤘고 평균 75점으로 합격을 하였고, 4월 27일 필답형시험 (가채점결과 35점 전후 예상), 5월 4일 작업형시험 (가채점결과 30점 전후 예상)을 치르고 다소 보수적으로 가채점을 해본 결과 평균 65점 전후로 최종 합격이 예상됩니다. 비전공자로서 직장생활을 하면서 수험생활을 되돌아보며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께 작게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라는 마음으로 글을 남겨봅니다. 혹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로 문의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1차 필기시험 ]1차 시험은 객관식 필기시험이고 CBT컴퓨터로 치러지며 시험을 마치면 그 자리에서 합격여부와 개인 획득점수를 알수가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문제오류등으로 정답변경이 없으면 거의 확정적인 .. 더보기
[행정해석]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제4조 제6호의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수행 시간에 관한 적용 범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제4조 제6호의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수행 시간에 관한 적용 범위 (고용노동부 행정해석 2022. 6. 13. 중대산업재해감독과-2267) 【 회 시 】 1.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제4조 제6호 단서 중 “배치해야 할 인력이 다른 업무를 겸직하는 경우에는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따라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 수행시간을 보장해야 한다”는 내용의 의미는 산업안전보건법상 선임된 안전관리자나 보건관리자 등(이하 '전문인력'이라 함)이 상시 근로자 300명 미만 사업장에 소속된 경우에는 다른 업무와 겸직이 가능하므로 해당 전문인력이 업무를 겸직하는 경우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수행 시간 기준 고시(고용노동부 제2022-14호)에 따라 일정 기준 이상의 시간을 안전 또는 보건 업무.. 더보기
[산업안전기사] 산업안전기사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오늘 09시에 큐넷에서 2024년 1회 산업안전기사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가 있었다. 시험당일 합격여부를 확인하였지만 시험을 마치자말자 행사에 참석하여야해서 합격여부만 보고 세부적인 과목별 점수현황은 보지 못하였다. 오늘 09시에 큐넷에 접속하여 마이페이지에서 시험결과 확인을 클릭하니 합격을 다시 확인할수 있었으며 수험번호를 클릭하니 과목별 세부 점수가 나타났다. 위에 화면에서 수험번호를 클릭하면 과목별 세부 점수로 넘어간다. 평균점수는 75점으로 가채점 결과와 동일하였으며 공부할때 힘들었던 기계, 전기, 화학, 건설에서 오히려 점수가 더 좋게 나와서 놀랐다. 1과목과 2과목은 사실 좀 쉽게 생각을 했었는데 너무 안일하게 공부를 하여서 점수가 더 낮게 나온듯하다. 2회차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은 1과목과 2.. 더보기
[산업안전기사] [필답형 정리] 23년 기출문제 및 빈출문제 정리자료 산업안전기사 2차 필답형 시험이 4월말이니 이제 한달 보름정도 남았습니다. 교재를 한권 가지고 있지만 유투브에 나오는 기출문제 동영상과 2023년 기출문제(필자는 2023년 출판교재를 가지고 있어서 2023년 기출문제가 없음) 복원 부분을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1차 필기시험때 정리한 자료와 이 자료 모두 그냥 올리거나 메일로 보내려니 너무나 일이 번거롭기에  공감을 눌러주시고 비밀댓글을 남겨주시면 암호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문서 암호 paon0504* 입니다. 2024년 1회차 산업안전기사 필기시험 후기 및 기출문제 복원 그리고 공부자료는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2024.02.20 - [산업안전기사] - [산업안전기사] 2024년 산업안전기사 필기시험 합격 후기 및 산업.. 더보기
[산업안전기사] [필답형 기출문제] 23년 1회차 PMS 규정량 및 보안경 4가지 [질문] 각 문항에 대한 PMS 규정량에 대해서 작성하시오 (1) 인화성 액체 : ( 5,000 kg ) 참고) 인화성 가스, 수소 (2) 암모니아 : ( 10,000 kg ) 참고) 이산화황, 삼산화황, 이황화탄소, 염화수소, 니트로글리세린, 과산화수소, 불산 (3) 염산 : ( 20,000 kg ) 참고) 질소 (4) 황산 : ( 20,000 kg ) PMS ( Process Safety Management ) : 공정안전관리 제도 산업안전보건법 제44조 규정에 따라 석유화학공장 등 중대산업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유해 위험 설비를 보유한 사업장으로 하여금 공정안전자료, 공정위험성평가, 안전운전계획 및 비상조치계획 수립 등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하게 하고 이를 이행함을써 중대산.. 더보기
[산업안전기사] [필답형 기출문제] 23년 1회차 소음수준별 허용가능시간 [ 빈칸 채워넣기 ] 작업시 소음 공해의 기준은 ( 85 ) [dB]로 8시간 이상 들었을때 나타난다. 여기서 90 [dB]은 ( 8 )시간 100 [dB]은 ( 2 )시간이다. [ 소음 수준별 최대 허용가능시간 ] 필기시험에서도 잘 나오는 문제이며, 90 [dB]을 기준으로 8시간이며 이후 5 [dB]이 증가할때마다 최대허용가능시간은 1/2씩 줄어들게 된다. 소음 허용가능시간 비 고 90 dB 8 시간 기준점 암기 95 dB 4 시간 8시간의 절반 100 dB 2 시간 4시간의 절반 105 dB 1 시간 2시간의 절반 110 dB 30 분 1시간의 절반 115 dB 15 분 30분의 절반 참고로 필기 기출문제의 보기에서는 115 dB에서 7분으로 오답이 자주 나왔던걸로 기억이 됩니다. 추가적으로 연관지.. 더보기
[행정해석] 안전 및 보건 전담 조직의 역할과 책임 중대재해 처벌법이 시행되면서 안전관련 담당을 하면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대표를 대신해서 형사처벌을 받아야 한다는 말들이 많았던걸로 기억을 합니다. 지금 산업안전기사를 공부하면서 문득 생각이 들어 노무법인 한수의 박진호노무사님이 보내주신 자료들을 보다 보니 관련 행정해석이 있어 공유해 봅니다. 안전관리자 또는 안전관리전담부서장은 중대재해 발생시 형사처벌을 받을까? ☞ 안전 및 보건 전담 조직의 역할과 책임 (고용노동부 행정해석 2022. 2. 21. 중대산업재해감독과-640) 1. 중대재해처벌법상 전담 조직은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를 총괄·관리하여 야 하며, 구체적으로는 “사업 또는 사업장”의 안전보건 관리체계를 관리·감독하는 등 개인사업주 또는 법인의 경영책임자 등을 보좌하고 개인사업주나 법인 또는 기관의..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