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사자격증 공부방

[소방설비기사] 소방설비기사(전기) 소방원론 용어 및 이론정리 - 1

반응형

1. 인화점 : 점화원을 주었을때 연소가 시작되는 최저온도로 인화점이 낮을수록 위험

2. 연소점 : 외부 점화원에 의해 발화한 후 연소를 지속시킬수 있는 최저온도로 인화점보다 5~10도 높음

3. 발화점 : 가연성 물질이 점화원없이 연소가 가능한 최저온도로 공기중에서 스스로 타기 시작하는 온도

4. 섭씨온도 : 표준대기압에서 물의 어는점을 0도C 끓는점을 100도C로 하여 100등분한 온도

5. 화씨온도 : 표준대기압에서 물의 어는점을 32도F, 끓는점을 212도F로 하여 180등분한 온도

6. 절대온도 : 절대영도(약 -273도C)를 0[K]로 설정한 온도이며 섭씨온도와 눈금의 간격이 같음

7. 랭킨온도 : 절대영도를 0[도R]로 설정한 온도이며 화씨온도와 눈금의 간격이 같음

8. 열량 : 열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양, J 또는 kcal 을 단위로 사용

9. 비열 : 어떤 물질 1kg을 1도C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10. 잠열 : 물질의 온도변화없이 상태를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열량

11. 현열 : 물질의 상태변화없이 온도변화에만 필요한 열량

12. 연소의 3요소 : 가연물, 산소공급원, 점화원 (+ 연쇄반응)

13. 물리적소화 : 가연물 차단(제거소화), 산소 차단(질식소화), 점화원 차단(냉각소화)

14. 화학적소화 : 연쇄반응 차단(억제소화)

15. 자연발화 : 외부의 열원이 없어도 물질 자체에 열을 축적하여 공기중에서 스스로 발화하는 현상을 말하며 주변온도가 높을수록, 일정량의 수분이 있을수록, 발열량이 클수록, 열전도도가 작을수록 자연발화 가능성이 높다

16. 화재의 특징 : 우발성, 확대성, 불안정성

17. A급화재 - 일반화재 - 목재, 섬유, 합성섬유  //   B급화재 - 유류화재 - 인화성 액체  //  C급화재 - 전기화재 - 전기설비  //  D급화재 - 금속화재 - 가연성금속  // K급화재 - 주방화재 - 식용유

18. 연소의 범위는 점화원 존재시 발화나 폭발이 일어날수 있는 공기중 가연성 가스의 농도 범위를 말하며 연소상한계가 높을수록, 연소하한계가 낮을수록, 연소범위가 넓을수록 위험성이 크다.

19. 감광계수 : 빛이 감소되는 계수를 의미하며 연기농도를 나타내는 척도임. 감광계수가 커지면 빛이 감소되고 시야가 좁아져 가시거리는 짧아짐. 감광계수와 가시거리는 반비례

감광계수 가시거리(m) 내  용
0.1 20 ~ 30   연기감지기가 작동할때의 농도
0.3 5   건물 내부에 익숙한 사람이 피난에 지장을 느낄 정도의 농도
0.5 3   어두움을 느낄 정도의 농도
1 1 ~ 2   거의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의 농도
10 0.2 ~ 0.5   화재 최성기때의 연기 농도
30 -   출화실에서 연기가 분출될때의 농도

20. 굴뚝효과(=연돌효과) : 건축물 내외부 공기의 온도 차이로 인한 압력차에 의해 공기가 이동하는 현상으로 건물 외부보다 내부의 온도가 높으면 공기는 위쪽으로 이동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