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사자격증 공부방

[소방설비기사 필기시험] 2022년 4월 24일 기출문제

반응형

1. 위험물안전관리 법령상 위험물로 분류되는 것은?  제1류(질산나트륨, 과산화나트륨) 제6류(과산화수소)

2. 이산화탄소 20g은 약 몇 mol인가?  0.45mol

3. 푸리에법칙 : 두께에 반비례, 단면적, 온도차, 열전도율에 비례

4. 제4류 위험물의 성질로 옳은것은?  인화성 액체  //1류(산화성고체) - 6류(산화성액체)

/ 2류(가연성고체) - 4류(인화성액체) / 3류(자연발화성 및 금수성물질) - 5류(자기반응성물질)

5. 분말소화약제 중 탄산수소칼륨과 요소와의 반응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는? 제4종분말

제1종분말(탄산수소나트륨)/ 제2종분말(탄산수소칼륨)/ 제3종분말(제1인산암모늄)/ 제4종분말(탄산수소칼륨 + 인산)

6. 건물화재의 표준시간-온도곡선에서 화재발생 후 1시간이 경과시 내부온도는? 약 925도

30분경과 (840deg) / 1시간 경과 (925~950deg) / 2시간 경과 (1010deg)

7.  점화원이 될수 없는 것 : 융해열, 흡착열, 기화열

8. 공기중에서 연소범위가 가장 넓은 것은? 수소 (4~75%) > 메탄 > 프로판 > 부탄

9. 플래시오버 : 열 및 가연성 기체가 축적되었다가 일시에 연소하여 화염이 크게 발생하는 상태

10. 연기농도 0.1 / 가시거리 20~30m  : 연기감지기가 작동할 정도

11. 프로판가스의 최소점화에너지는 몇 mJ 정도인가? 0.25mJ

12. 정전용량이 각 1uF, 2uF, 3uF이고 내압이 모두 동일한 3개의 커패시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양단에 전압을 인가한 후 전압을 상승시키면 가장 먼저 절연이 파괴되는 커패시터는?     1uF > 2uF > 3uF

13. 제어요소가 제어대상에 가하는 제어신호로 제어장치의 출력인 동시에 제어대상의 입력이 되는 것은? 조작량

14. 어떤 전압계의 측정범위를 12배로 하려고 할때 배율기의 저항은 전압계 내부저항의 몇배로 해야하나? 11배

15. 균일한 자기장 내에서 운동하는 도체에 유도된 기전력의 방향을 나타내는 법칙은?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16. 화재예방상 필요하다고 인정되거나 화재위험경보시 발령하는 소방신호의 종류는? 경계신호

17. 연료탱크는 보일러 본체로부터 수평거리 1m 이상의 간격을 두어 설치할 것

18. 소방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 시,도지사 ) 직속으로 소방본부를 둔다

19. 주거,상업,공업지역 소방용수시설 설치시 소방대상물과 수평거리 기준 100m이하, 나머지 140m이하

20. 소방시설업의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영업을 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하는 제3류 위험물은?  나트륨 (알칼리금속)

22. 법령상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해야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

- 공장 및 창고시설로 소방법에서 정하는 수량의 500배  이상의 특수가연물을 저장 취급하는 것

- 지하가로서 연면적 1,000 m2 이상인 것   - 수용인원 100명 이상 숙박시설 있는 수련시설

- 장례시설 및 복합건축물로서 연면적 600 m2 이상인 것

23. 종합정밀점검 실시 대상 : 물분무등 소화설비가 설치된 연면적 [ 5,000 m2 ]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24. 특수가연물의 저장 및 취급의 기준 : 쌓는 높이는 [ 10m ] 이하가 되도록 하고 쌓는 부분의 바닥면적은 [ 50m ] 이하

25. 위험물 저장 취급 제조소 "화기엄금" : 적색바탕에 백색문자

26. 위험물을 혼재하여 저장할수 있는것?  1류 - 6류 / 2류 - 4류 - 5류 / 3류 - 4류

27.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 등을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이 아닌것은? 11층 이상 아파트

28. 건축허가등을 할때 미리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 등의 범위기준

학교시설 100 m2이상/ 노유자시설,수련시설 : 200 / 정신의료기관, 장애인의료재활시설 : 300 / 차고 주차장 : 200

29. 제조 또는 가공공정에서 방염처리를 한 물품 중 방염대상물품이 아닌것은? 종이벽지

30. 특정소방대상물 중 상시 근무하거나 거주하는 인원이 ( 10 )명 이하인 특정소방대상물을 제외한 것을 말한다

31. 제1종 배전반 및 제1종 분전반의 외함의 두께는 1.6mm (전면판 및 문은 2.3mm)이상의 강판

32. 분배기, 분파기 및 혼합기 등의 임피던스는 50옴의 것으로 할 것

33. 비상콘센트설비 절연내력시험은 150V 이하 실효전압 1000V 교류전압을 가하는 시험에서 1분이상 견뎌야 함

34. 누설동축케이블은 화재에 따라 해당 케이블의 피복이 소실된 경우에 케이블 본체가 떨어지지 않도록 4m 이내마다 금속제 또는 자기재 등의 지지금구로 벽, 천장, 기둥 등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함

35. 비상콘센트용의 풀박스 등은 방청도장을 한것으로 두께 1.6mm 이상의 철판으로 할것

36. 불꽃감지기의 시설기준으로 틀린것은? 폭발 우려장소에는 방폭형으로 설치할 것

37. 비상조명등 자가점검시간은 (30)초 이상, (30)분 이하로 (30)일 마다 최소 한번 이상 자동으로 수행해야 함

38. 부착높이 4m 미만으로 연기감지기 3종을 설치할때 바닥면적 50m2마다 1개이상 설치해야 함

39. 기동장치(감지기) - 수신기 - 증폭기 - 조작부 - 확성기 순서로 동작

40. 유도등의 일반구조 : 축전지에 배선등은 직접 납땜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41. 시각경보장치의 전원부 양단자 또는 양선을 단락시킨 부분과 비충전부를 DC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하는 경우 절연저항이 5M옴 이상이어야 한다.

42. 누전경보기의 공칭작동전류치는 200mA 이하이어야 한다.

43. 속보기는 연동 또는 수동 작동에 의한 다이얼링 후 소방관서와 전화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최초 다이얼링을 포함하여 ( 10 )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속을 위한 다이얼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경우 매회 다이얼링 완료 후 호출은 ( 30 )초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44. 비상방송설비의 음향장치는 정격전압의 80%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수 있는 것으로 할것

45. 소방회로배선은 일반회로배선과 불연성 벽으로 구획하여야 하나 소방회로배선과 일반회로배선을 15cm 이상 떨어져 설치한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46. 경종의 소비전류는 50mA 이하여야 한다.

47. 아날로그식, 다신호식 감지기나 R형 수신기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전자파 방해를 받지 아니하는 쉴드선 사용

48. 누진경보기 표시등은 주위의 밝기 300럭스 장소에서 측정하여 앞면으로 부터 3m 떨어진 곳에서 켜진등 식별가능

 

728x90